1. RS422 통신 이란?
이종장치 사이에 직렬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도록 하는 방법을 표준화한 통신 규격의 하나이다. 직렬 통신 규격으로 이미 채택하여 사용 중이던 RS-232C의 제약을 극복하여 보다 고속 전송을 할 수 있고 전송 거리도 늘리기 위하여 1976년 미국 EIA(미국 전자공업회)에서 규정한 표준이다. 1:N 통신이 가능하다.
- RS422 물리적 인터페이스
2. 물리적 인터페이스
- 핀맵
물리적 인터페이스의 경우 RS422은 5개의 핀으로 구성되어 있다.
1. RX+ , 2. TX+, 3, RX- 4. TX- , 5, GND
실제로 데이터가 송수신 되는데 필요한 핀은 1. RX+, 2. TX+, 3. RX-, 4. TX- 이다. GND는 연결하지 않아도 된다.
3. 전기적 특성
- 차동 신호 방식
RS232 통신과 다르게 데이터가 한선이 아니라 두선이라서 차동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
수신부에서 차동 데이터만 받아들이게 설계 되어 있다.
Data+,Data- 차동신호로 주고 받을 때 이점은 외부 노이즈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N = 노이즈 , Data+ = 데이터 +, Data- = 데이터 -
식: (Data+)+N - (Data-)+N = (Data+) - (Data-) , 노이즈가 제거된 차동 신호
동상 신호인 노이즈는 제거 된다.
4. 통신속도
- 보레이트(baudrate)
보레이트는 1초동안 보낼수있는 비트수를 말한다.
RS422의 통신 속도는 보레이트(baudrate)로 규정한다.
보레이트 9600은 1초동안 9600bit의 데이터를 전송 할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보레이트는 4800, 9600, 19200, 38400, 115200 (단위:bit/s ) 등 다양하다.
이종장비간 통신을 위해서는 두장비간 보레이트를 동일하게 설정해야한다.
5. 통신거리
- RS422통신 거리는 케이블의 종류와 보레이트에 영향을 받는다.
- 케이블은 Low Capacitance 일수록 전송거리는 길어진다.
- 일반적으로 통신속도가 빠를수록 통신거리는 짧아진다.
6. RS422 설정 환경
- RS422 통신 프레임 구조
- COMPORT: 하드웨어에 할당된 COMPORT이다.
- 보레이트: Bit/s로 표현되는 시리얼 통신의 통신 속도이다.
- DATA BIT: 시리얼통신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BIT의 개수를 설정한다.
- PARITY BIT: 비트의 합으로 데이터의 오류를 검사하는 비트이다.
- STOP BIT: STOP비트의 개수를 설정한다.
- 흐름제어: RTS(Request to pin)핀과 CTS(Clear to Send)핀을 이용하여 하드웨어 통신 제어를 한다.
송신측과 수신측 데이터를 송수신 할경우 수신측에서 데이터부하가 많아 질 경우 송신측에서 보내는 데이터의 흐름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한다.
시리얼 포트에서 제공하는 RTS핀과 CTS 핀을 이용하여 핀의 상태를 이용하여 통신의 흐름을 제어한다.
7. 통신 방식 비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