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함수'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엑셀 함수4

엑셀 HLOOKUP 함수 금일은 HLOOKUP함수에 관해 포스팅 합니다. 이 HLOOKUP 함수는 VLOOKUP 함수와 비슷한 원리로 동작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VLOOKUP의 V는 Vertical 수직을 의미합니다. 세로로 나열된 데이터에 특화 된 반면 HLOOKUP 함수의 H는 Horizontal의 의미로 수평을 말합니다. 가로로 나열된 데이터에 특화 되어 있습니다. 조건의 키값을 이용하여 원하는정보를 한번에 찾을수 있게 하는 것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1. 함수의 구성 함수의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수식 : HLOOKUP(찾을 값, 테이블, 찾을열, 일치 옵션) - 찾을 값 : 찾을 값은 검색을 위한 기준이 되는 값입니다. - 테이블: 검색 영역 데이터 셋 입니다. - 찾을 열: 찾고자 하는 열번호 입니다. - 일치 옵션:.. 2021. 5. 28.
엑셀 VLOOKUP 함수 사용법 엑셀 VLOOKUP 사용법을 포스팅 합니다. VLOOKUP은 엑셀 프로그램 함수 중 꽤 쓰임이 많은 함수 인 것 같습니다. 다수의 데이터에서 원하는 것을 찾아 주는 기능을 하는 함수 입니다. 이 함수의 V는 Vertical의 약자 입니다. 말 그대로 수직의 의미 입니다. 수직으로 형성된 데이터를 찾아서 검색해주는데 특화 되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에 맞게 수평으로 형성된 데이터를 찾아서 검색해주는 함수는 HLOOKUP 입니다. 실무에서는 VLOOKUP은 비중이 있는 중요한 함수로써 필수적으로 알아야하는 함수 입니다. 1. VLOOKUP 함수 구성 VLOOKUP함수의 구성은 VLOOKUP(찾을 값, 테이블, 찾을열 번호, [일치 옵션]) 입니다. - 찾을 값: 검색을 위해 찾을 기준값입니다.. 2021. 5. 28.
엑셀 함수 정리 SUMIF 함수 SUMIF 함수는 원하는 조건에 맞는 값의 합계를 구할 때 사용합니다.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SUMIF 함수를 이용해 방호수별 월세의 합계를 구 할 수 있습니다. SUMIF 함수의 구성을 볼 수 있습니다. SUMIF 함수는 조건을 구할 영역, 조건, 조건에 맞는 값을 구해서 합하는 영역으로 구성 됩니다. 우선 아래 그림과 같이 수식을 완성해 주세요. D5에서 D13까지 영역을 조건을 구할 영역 G5는 조건을 넣어 주는 영역 E5에서 E13까지 영역을 조건에 맞는 값을 구해서 합하는 영역 참고로 영역 설정이 된 부분에 $표시가 된 것을 확인 하세요. $ 표시는 절대참조를 의미합니다. 만약 절대참조가 무엇인지 잘 모르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 주세요. https://developer-depot.tis.. 2021. 5. 17.
엑셀 함수 정리 SUM 사용법 엑셀함수 정리 입니다. 엑셀함수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기본인 SUM함수에 대해 포스팅 합니다. 엑셀 SUM 함수는 의미 그대로 더하기 입니다. Summatin의 약자 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엑셀을 켜주세요.. 그리고 아래와 같이 타이핑 합니다. 그 옆의 칸에 '=sum'이라고 쳐주세요.. 그러면 위 그림처럼 자동으로 엑셀이 합계 함수를 선택해 줍니다. 이후 괄호를() 넣어줍니다. 커서가 아래처럼 괄호 ( ) 중간에 활성화 되어 있어야 합니다. 아래처럼 더할 값들이 있는 칸에 드래그 해 줍니다. 이후 엔터를 쳐주면 됩니다. 아래그림처럼 결과가 나옵니다. 결과 값은 10이네요.. 1+2+3+4 = 10 값이 띄엄 띄엄 적혀 있어도 가능합니다. 이런 경우는 더하는 값의 셀을 CTRL키를 눌러 각.. 2021. 5. 14.
반응형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