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포인트제 참여방법 및 정리
요즘 탄소배출이 많아 지구 위기가 온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이 뭐지?
나도 환경도 지키고 재테크도 하고 싶다.
우리 미래세대를 위해 작은 실천을 계획하고 싶다.
탄소포인트제가 있다고 들었는데 어떻게 참여하는 것이지?
위와같은 의문이 드시는 분들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지구환경을 지키고 또 재테크도 하는 방법이 바로 탄소 포인트제와 탄소중립 실천포인트 입니다. 이 두 가지 방법 중에서 탄소 포인트제에 대해 포스팅합니다.
탄소중립 실천 포인트에대해 알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탄소중립 실천 포인트에 대해 알아보시면 됩니다.
1. 탄소 포인트제란 무엇인가?
지구 온난화에 따른 온실가스 저감을 계획하고 이를 실천하는 제도입니다. 전기, 상수도, 도시가스의 사용절감을 통해 감축률에 따라 탄소포인트를 주는 국민 온실가스 감축 실천 제도입니다.
탄소 포인트 운영 체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환경부에서 총괄하고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며 한국 환경공단에서 운영지원을 하는 제도입니다. 참여자는 국민 모두가 되겠습니다.
2. 탄소 포인트제 참여조건 및 참여하는 방법
환경부에서 총괄하는 범국민적 제도인 것은 알았고 이제 참여자가 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참여조건
에너지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계량기가 부착되어 있거나 여타의 방법으로 객관적인 에너지 사용량 확인이 가능한 경우 참여가 가능합니다. 참여대상은 개인, 상업, 단지를 기준으로 나누어집니다.
- 참여대상(개인, 상업)
가정: 세대주, 세대원
상업시설: 실사용자
개인: 가정의 세대주가 되며 학교, 상업시설의 실사용자
- 참여대상(단지)
아파트: 아파트 관리사무소장
학교: 학교장
건물: 건물 관리자
단지: 단지 150세대 이상의 아파트 단지 및 학교, 일반건물의 공용 부분을 관리하는 관리사무소, 학교장, 건물
- 참여 방법
인터넷 신청: 탄소포인트제 누리집에서 가입
누리집 접속(cpoint.or.kr) ->실명인증 및 약관 동의 -> 상세정보 입력 -> 가입 완료
방문신청 : 관할 시,군,구 담당 부서에서 방문하여 신청 가능
3. 탄소 포인트제 인센티브 지급 방법
탄소포인트제 포인트를 부여하는 방식과 탄소포인트 지급 기준에 대해 알아봅니다.
- 포인트 부여
가정 내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전기, 가스, 상수도)를 과거 1~2년간 월평균 사용량을 현재 사용량과 비교하여 절감비율에 따라 탄소 포인트를 부여
현재 사용량 <---> 기준사용량(1~2년간 월별 평균)
- 탄소 포인트 지급기준
개인 온실가스 감축률에 따라 탄소포인트를 연 2회 부여 합니다. 하지만 감축율 5%를 기준으로 포인트 지급이 달라집니다. 아래 표를 참조해 주세요.
1탄 소 포인트 : 최대 2원
- 감축 인센티브: 감축률 5% 이상은 감축인 센티브 기준으로 지급을 합니다.
- 유지인 센티브: 유지 인센티브의 경우는 4회 이상 연속으로 5% 이상의 감축률을 유지 한상태에서 0~5% 미만의 감축율을 달성한 경우
지급해주는 인센티브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해당하는 인센티브 중 한 가지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인센티브 종류: 현금, 상품권, 종량제 봉투, 지방세 납부, 기부, 교통카드, 상장, 공공시설 이용 바우처
4. 포인트 계산방법
1단계. 사용량 수집(월별 or 반기별)
에너지(전기, 수도, 가스) 별 수집 시기가 상이합니다. 기준사용량 자료가 과거 1년밖에 없는 경우에는 과거 1년 자료만 이용합니다.
반기별 기준에서 누락되는 월이 있는 경우는 누락이 없는 월의 기준사용량 평균을 기준으로 적용하여 합산합니다.
월별: 과거 2년간 같은 월 사용량을 평균한 값
반기별: 월별 기준사용량을 반기별로 합산한 값
2단계. 포인트 산정 및 정산
온실가스 감축량에 따라서 포인트 지급 대상을 선정합니다.
3단계. 포인트 및 인센티브 산정
- 인센티브를 그린카드 포인트로 제공받을 시에는 상반기 하반기로 구분하여 지급받습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 신청방법 및 모의계산 (0) | 2022.04.24 |
---|---|
탄소중립 실천포인트 참여 방법 및 내용 정리 (0) | 2022.04.23 |
기업은행 대출상품 자격 한도 및 금리 (0) | 2022.04.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