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저항 소자 개념 정리
본문 바로가기
전자회로

R 저항 소자 개념 정리

by 124578 2021. 1. 11.

RLC 저항 커패시터 인덕터 소자 정리

 

1. 저항(Resistor)

 - 정의

  전기저항은 도체에서 전기를 흐르지 못하게 하는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이고 단위는 옴입니다.

 

 - 기호

 - 물리적 특성

  비저항이 클수록 저항이 큽니다.

  단면적이 작을수록 저항이 큽니다.

  길이가 길수록 저항이 큽니다.

 

  비저항 ρ, 단면적 A, 길이 L 이라고 한다면 아래와 같은 관계식이 성립합니다.

 

  R = ρ*A/L

  

 전기회로에서 저항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여 전압강하를 발생 시킨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식이 성립합니다.

 저항 R, 전압 V, 전류 I는 아래와 같은 관계식이 성립합니다.

 

 R = V/I

 

옴의 법칙 

 

- 직류회로인 경우

 

저항은 직류일때 다음과 같은 비례관계가 성립합니다.

전류와 전압사이는 직류일때 아래와 같은 비례관계가 성립합니다.

 

V = IR

 

- 교류회로인 경우

 

교류회로에서는 직류저항의 개념과 달리 전압과 전류가 주기적으로 변합니다. 따라서 전압, 전류의 변화는 Sine파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교류회로에서는 전압과 전류가 한주기를 놓고 본다면 총변화량이 0에 수렴하지만 실제로 전기가 하는일이 없는 것이 아니므로 0으로 간주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교류에서는 실효치와 무효치로 나뉘어 계산 되어 집니다.

 

실효치 = 실제로 일에 관여하는 임피던스

무효치 = 실제로 일에 관여하지는 않지만 임피던스로 계산되는 부분

 

교류관계에서 저항의 개념은 직류와 달리 해석 되어야 하며 Z라고 표기하며 임피던스라고 합니다. 아래와 같은 관계식이 성립합니다.

 

Z = V/I

 

임피던스는 내부적으로 무효치 성분 (용량성 성분 Xc, 유도성 성분XL) , 실효치 성분 R로 나뉘며 최종 임피던스는 실효치와 무효치(용량성, 유도성)의 관계식으로 성립됩니다 . 최종 관계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XL = 2𝝿FL (유도성분), Xc = 1/2𝝿FC(용량성분) , (F = 주파수 , L =  인덕턴스 , C = 커패시턴스)

 

 

 z= R+jX 라고 표기 하기도 합니다.

'전자회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두이노 개발 보드의 종류  (0) 2021.10.27
op amp (연산 증폭기) 버퍼회로  (0) 2021.10.26
op amp(연산 증폭기)  (0) 2021.10.13
SPI 통신 구현 및 디버깅 방법  (1) 2021.05.09
SPI 통신 설명 및 분석 방법  (4) 2021.05.06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